본 포스팅은 일반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자세한 민원은 아래 정부24 콜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얼마 전 독립생활을 청산하고 다시 본가로 입주하게 되었다.
전입신고를 하기위해서는 거주동 동사무소(현, 행정복지센터)에 가야한다는데 이 더운날 걷기 싫어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하기로 했다.
동사무소/시청 온라인 업무는 88%정도 정부24에서 한다고 일단 생각하면 편리함
민간인증서 등 본인이 편리한 방법으로 로그인 한 후에 화면이다
여기서 자주찾는검색 메뉴만 확인해도 전입신고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메뉴에서 찾는건 일반인으로썬 귀찮은 일이니 검색기능을 적극 활용하자
전입신고 메뉴를 검색하면 민원서비스 최상단에 올라온다
신고하기 클릭
온라인 전입신고는 이사한 사람만 가능하며, 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미성년자는 부모님과 함께 이사한 부모가 신고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그 외의 경우는 새로운 거주지의 읍,면,동사무소를 이용해야함.
모든 안내사항에 동의를 한 후 전입신고 페이지로 이동한다.
1. 신청인 정보
신청인의 기본사항을 적어준다.
연락처와 전입하는 사유를 적어주는데 나는 가족과 함께 거주하기 위함임으로 두번째 항목을 선택했다.
2. 이사 전에 살던 곳
인증하고 들어간 페이지라서 그런지 내가 거주중인 곳은
도/시를 입력하니 자동으로 조회되었다.
특이했던건 나처럼 기존 세대주가 있는 집에 전입시,
기존 세대주에게 내가 이 집에 전입신고함을 알리게 되어있어서
기존 세대주의 주민등록번호 및 전화번호에 대한 사전동의가 필요하고
전입신고시에 입력하게 되어있다.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이 내 집에 전입신고됨을 막기위해서인가보다.
하긴 이런경우가 더러있지.
3. 이사온 곳
마지막은 내가 이사온 곳에 대한 정보와
이사온 곳의 세대주 정보를 적어주어야 한다.
세대주와의 관계도 적어주어야한다.
기존 세대주와 나의 관계를 적는란이니,
나는 기존 세대주인 아빠의 자녀임으로 "자녀"로 기재해서 접수했다.
접수과정에서 우편물 주소지 일괄변경도 가능해서 함께 적용해서 신청했다.
전입신고 신청은 완료, 세대주가 확인해주어야 함.
나의 첫 온라인 전입신고는 기존 입주한 사람이 없는 행복주택 첫 입주였기에
따로 세대주가 확인해주어야 하는 과정이 없었는데
지금은 세대주의 세대원으로 전입되는거라서 기존 세대주인 아빠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것

이런거 귀찮아서 온라인으로 한건데
이러다가 아빠랑 손붙잡고 동사무소 가게 생겼다 걱정했는데
다행히 세대주의 전입자 확인도 온라인으로 가능한것으로 보인다
아빠 만나면 아빠폰으로 전입신고 뚝딱 완료해버려야지
이렇게 더운 여름날 동사무소 가지 않고 인터넷으로 정부24에서 전입신고하기 완료
몇개월있다가 또 떠날 세대원은 이만 총총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구 침대 버리는 법 여기로에서 대형 폐기물 스티커 발급받아요 (0) | 2024.07.09 |
---|---|
국세청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모두채움 납부 환급 ARS 신고하는 법 (삼쩜삼 수수료 멈춰) (0) | 2024.05.08 |
웨딩북 새댁멘토 1개월 후기 및 포인트 적립 (웨딩북 초대코드 VBP6GQ) (0) | 2024.04.01 |
네이버페이 포인트 쿠폰 등록방법 (ktm모바일 추천인코드 T8884) (0) | 2023.11.07 |
편의점택배 네이버 예약 / GS25 접수 / 예약번호 확인방법 (0) | 2023.09.13 |
댓글